Q. 다음 중 안전보건교육규정에 따라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강사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?
① 관련 기관 종사자로서 실무경력 1년 이상 (3년 이상)
② 근골격계 질환 예방 전문가
③ 직무 스트레스 예방 전문가
④ 의사, 간호사, 공인노무사, 변호사
Q. 산업재해 예방 안전수칙은 4대 추진과제 및 17대 실천수칙으로 구성되어 있다.
① O
② X
Q.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보험급여는 이중 배상이 가능하다.
① O
② X (산재보험이 강제 적용되는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상의 재해보상을 청구할 수 없음-이중배상금지)
Q. 안전수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작업자의 유일한 이동통로인 작업발판을 확실하게 고정해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.
② 작업장 위험요인 발굴 시 발굴 상황을 수집하여 감독자 및 전체 근로자가 토론을 거쳐 중복사항을 제외한다. 단, 동일한 공정이라 할지라도 타 설비에서 도출된 중복 위험사항은 제외하지 않는다.
③ 작업조건에 맞는 안전인증 제품의 보호구를 작업하는 근로자 수보다 적게 지급해야 한다.
④ 위험 작업 시 사전에 철저하게 인지하고 예방책을 세울 수 있도록 작업계획서를 꼼꼼하게 작성해야 한다.
Q. 노무를 제공하는 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·설비·원재료·가스·증기·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하거나 또는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은 산업재해에 해당한다.
① O
② X
Q. 상시근로자 2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경우 휴게시설을 갖추지 않으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1,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.
① O
② X
Q. 업무와 부상/질병/장해/사망과의 인과관계 유무는 보통 평균인이 아닌 당해 근로자의 건강과 신체조건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.
① O
② X
Q. 끼임 사고는 근로자의 주의와 관심만으로 100% 예방이 가능하다.
① O
② X
Q. 다음 중 계절성 감염병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흔히 볼거리라고 불리는 유행성이하선염은 급성 전염병으로서 무증상 감염이 20%를 차지한다.
② 식중독은 주로 바이러스, 박테리아, 기생충, 독버섯, 외독소를 가진 음식, 농약이 묻은 과일과 채소와 같은 독소 등을 통해 균에 감염되어 발생한다.
③ 유행성출혈열의 원인균은 한탄 바이러스(Hantan virus)로 들쥐의 소변과 타액에 다량의 바이러스가 함유되어 있어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주로 실내 생활자에게 많이 발병한다.
④ 겨울철 감염병 중 하나인 인플루엔자는 갑작스러운 고열과 전신쇠약 등의 증세가 대표적이다.
(유행성출혈열은 신증후군출혈열이라고 불리는 병으로, 가을철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이며 비교적 강우량이 적은 건조기에 군인, 캠핑이나 등산, 낚시를 즐기는 사람 등 주로 야외 생활자에게 많이 발병한다.)
Q. 여름철 온열질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열사병이란 체온을 조절하는 신경계(체온조절 중추)가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상실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.
② 열사병의 증상으로는 땀을 많이 흘림(과도한 발한), 차고 젖은 피부, 창백함, 체온은 크게 상승하지 않으며 극심한 무력감과 어지럼증(현기증)이 있다.
③ 열실신은 주로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거나 오래 서 있을 때 발생한다.
④ 열발진/땀띠가 발생하는 경우 환부를 시원하고 건조하게 유지하고, 발진용 분말가루 및 연고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.
(열사병의 증상으로는 중추신경 기능장애(의식장애/혼수상태),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(>40℃), 심한 두통, 오한, 빈맥, 빈호흡, 저혈압, 다발성 장기손상 및 기능장애와 같은 합병증 발생이 있다.)
Q. 봄철 유행하는 감염병에는 유행성출혈열, 쯔쯔가무시증, 렙토스피라증이 있다.
① O
② X
(봄철 유행하는 감염병에는 홍역, 유행성이하선염, 수두, 수족구병, 눈병, 호흡기질환 등이 있다.)
Q. 피로를 예방 및 회복하기 위해서는 수면을 잘 취해야 하고 이때 수면시간은 길면 길수록, 오래 잘수록 그 효과가 크다.
① O
② X
(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7~9시간의 수면이 필요하지만, 수면시간이 길다고 하여 기대 효과는 크지 않으며 너무 오래 자는 경우 오히려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.)
Q. 안전문화란 작업장 안전영역에 대해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기본가정, 가치 및 규범을 의미한다.
① O
② X
Q. 고용형태에 따라 안전문화 인식수준은 차이가 없다.
① O
② X
Q. 수인성 감염병은 주로 물, 식품, 우유 등의 공동 매개체에 의해 발생한다.
① O
② X
Q. 산업피로란 생산활동으로 인해 정신적·육체적으로 고단하다는 주관적 느낌이 있으면서 이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생체기능의 변화를 가져오는 현상을 말한다.
① O
② X
Q. 정리정돈을 하면 낭비를 줄임으로써 능률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된다.
① O
② X
Q. 의자가 낮은 경우 등뼈가 앞으로 휘기 쉽고 아랫배가 압박을 받으며 내부 장기의 정상적인 활동이 저해된다.
① O
② X
Q. 산업재해 기록은 사업장의 개요 및 근로자의 인적사항, 재해 발생 일시 및 장소, 재해 발생 원인 및 과정, 재발 방지 계획을 기록하여 3년간 보관해야 한다.
① O
② X
Q. 휴업급여는 업무상 재해로 취업하지 못하는 기간 동안 임금 대신 지급되는 급여로서, 통원치료 기간에는 지급되지 않는다.
① O
② X
Q. 장해급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장해보상 청구자가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장해보상 청구서를 제출하면 관할 근로복지공단은 장해상태를 확인한 후 장해보상금을 장해보상 청구자에게 지급한다.
② 장해급여 지급 수준은 평균임금에 해당 등급의 기준 일수를 곱한 금액으로 산출되며, 등급별 장해보상 연금 기준 일수와 장해보상 일시금 기준 일수는 동일하다.
③ 장해급여란 업무상의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려 치유된 후 신체 등에 장해가 있는 경우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보험급여이다.
④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별표2의 장해급여표에 따라 제1급부터 제3급까지는 장해보상 연금이 지급되고, 제4급부터 제7급까지는 장해보상 연금 또는 일시금이 지급되고, 제8급부터 제14급까지는 장해보상 일시금으로 지급된다.
(산업재해보상보험법 별표2에 따라 장해등급은 제1급에서 제14급으로 구분되며, 연금 및 일시금 기준 일수는 등급에 따라 다르다.)
Q. 유족급여 및 장례비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유족연금 수급권자는 1인으로 규정되며 사실혼 관계의 배우자도 생계를 같이 하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경우 가능하다.
② 연금 수급권자가 없는 경우에는 유족보상 일시금으로 지급되며, 평균임금의 1,300일분에 상당하는 금액으로 지급된다.
③ 장례비는 근로자가 업무상 사유로 사망한 경우 장제를 지낸 유족에게 지급되는 보험급여로 유족이 아닌 자가 장제를 지낸 경우에는 지급되지 않는다.
④ 유족급여는 업무상 사유로 인한 재해로 근로자가 사망하거나 요양을 하던 중 사망하는 경우 남은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유족에게 지급하는 것으로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한다.
(유족이 없거나, 유족이 아닌 자가 장제를 지낸 경우 장제를 지낸 자에게 실비 지급된다.)
3분기는 아래에서 확인하세요